ABAP

[SAP_ABAP]ERDAT/ ERZET/ ERZZT/ ERNAM/ AEDAT/ AEZET/ AENAM 필드

universe8 2022. 8. 19. 21:00

ABAP에서는 DB 테이블(DB TABLE)에서  ERDAT/ ERZET/ ERNAM/ AEDAT/ AEZET/ AENAM 필드를 추가하여 데이터가 새로 추가될 때 마다 로그관리(log),이력관리 또는 Time Stamp를 하는 경우가 있다. 

 

ERDAT  : 레코드생성일

ERZZT  : 생성 시간   또는   ERZET  : 입력 시간
ERNAM : 오브젝트 생성자 이름
AEDAT  : 최종 변경일
AEZET  : 최종변경시간 
AENAM : 오브젝트 변경자 이름

 

보통 필드이름은 데이터 엘리먼트(Data Element)와 동일하게 ERDAT/ ERZET/ ERNAM/ AEDAT/ AEZET/ AENAM 해줌.

 

ERDAT, AEDAT SY-DATUM.
ERZET, ERZZT, AEZET  SY-UZEIT.
ERNAM, AENAM SY-UNAME.

 

 - 여러개의   DB 테이블(DB TABLE)에 매번 필드를 추가하기 보다는 이력관리용(TIME STAMP) 구조(structure)를 하나 만들어서  [.INCLUDE] 를 하면 효율적이다.

아래와 같은 이력관리용(TIME STAMP) 구조(structure)를 별도로 만들고

 

DB 테이블(DB TABLE) 필드부분에 [.INCLUDE] > Data element부분에 [스트럭쳐(구조 structure)이름] 입력

 

 -  Tip)이미 만들어져있는 구조(스트럭쳐structure) 찾기 : 사용처리스트(Where-Used List) 활용

: 이력관리용(TIME STAMP) 구조(structure)를 새로 만들기 전에 이미 누가 만들어놨을지도 모르니 사용처리스트 (Where-Used List) 를 이용해서 이미 만들어진 이력관리용 구조(스트럭쳐structure)가 있는지 확인한다.

 

> [where-used list 이용해서 이미 만들어진 이력 관리용(log) 구조(structure)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]

1. 티코드 SE11 에서 [데이터 유형]라디오버튼 클릭,  ERDAT/ ERZET/ ERNAM/ AEDAT/ AEZET/ AENAM 중 아무거나 하나 입력 후 [enter] > 사용처리스트(Where-Used List) 클릭

 

2. ERDAT필드가 들어있는 이력관리용(TIME STAMP) 구조(structure)를 찾을거라서

Structure fields 클릭 > 확인

 

 

3. 그럼 상위에 스탠다드 스트럭쳐(구조 structure)들 부터 쭉 나오는데 드래그를 맨 밑으로 내려서 밑에서부터 위로 올라오면서 CBO로 만들어진 스트럭쳐(구조 structure)가 있는지 찾는다.

쭉쭉 내리면 이렇게 누가봐도 로그관리를 하는것으로 보이는 스트럭쳐(구조 structure)를 하나쯤 찾을 수 있다.

[ERDAT]부분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스트럭쳐로 이동한다.

 

반응형